3.1 개요

From Dr.Ho's Wiki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동기기 구조

앞장에서 각각의 기기를 다루는데 있어서 입력 에너지 형태와 출력 에너지형태를 아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했습니다. 직류기에서는 직류 전기에너지를 입력받아 기계적인 동력을 얻거나 또는 기계적인 동력으로 직류 전기에너지를 발생하였습니다. 그렇다면 동기기는 어떠할까요? 동기기는 교류 전기에너지를 발생하거나 교류를 이용하여 기계적 회전력을 얻습니다.

교류로부터 동력을 얻는 것은 획기적인 진전이었습니다. 예전에 미국에서는 에디슨과 웨스팅하우스가 직류를 사용할 것인가 교류를 사용할 것인가를 놓고 전기시장에서 패권을 다투고 있었습니다. 직류기의 이론은 일찌감치 정착이 되었습니다. 사람들은 직류를 사용하여 전구를 켜고 전동기를 돌릴 수 있었지만, 교류를 사용하여 동력을 얻는 법은 모르고 있었습니다. 이때 유럽에서 온 테슬라는 그 천재성으로 회전자계 이론을 정립하여 교류전동기를 발명하여 직류측의 신봉자들을 물리칩니다. 이제 교류는 조명뿐만 아니라 동력을 얻고, 더군다나 변압방식까지 사용하여 송전 방식에서도 직류에 대한 확고한 우위를 지키게 됩니다.

회전자계 이론은 모든 교류전동기의 핵심원리입니다. 이 이론은 유도기에까지 확장되며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많이 접하는 단상 유도기도 결국은 회전자계 이론으로 설명되는 것입니다. 회전자계 이론은 무엇일까요? 이론은 간단합니다. 그러나 이해는 간단하지 않은 모양입니다. 책속에 있는 그림보다는 움직이는 애니메이션으로 그 원리를 쉽고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제 동기 발전기와 동기 전동기 각각의 원리를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동기기 구조 (1)
동기기구조(2)